.정보봉사 일반

1.정보봉사 개념

1.‘정보서비스는 사서가 이용자에게 주는 인적협조.

2.aids, readersreference, workreference, servicereference&information, serviceinformation,service

3.1876Green이용자협조(aids to the readers)”라는 서비스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4.참고 트랜잭션(reference transaction)은 도서관 지원이 이용자가 요구하는 거에 대해 정보자문 활동하는 것만! 말하는 거고, 참고업무(reference work)은 참고 트랜잭션 포함&그 외에 부수적인 활동도 포함하는 거.

5.참고봉사는 참고업무보다 보다 조직화되고 전문화된 참고업무를 말하는 거

6.로스타인(Samuel Rothstein)은 참고업무를 인적협조로 보면서 이용자에 대한 인적협조의 필요성을 강조. 게다가 with book의 수준이 아닌 in book의 수준으로 봉사해야 한다고 말함.

7.참고봉사는 정보서비스에 비해 old한 느낌.

8.참고봉사의 3요소 : 참고사서, 이용자, 정보원

9.참고봉사 모델 : 참고데스크 서비스(이용자가 트랜잭션 시작), 이동 참고서비스(사서가 트랜잭션 시작), 계층적 참고서비스(수준에 따라 답변, 대학도서관), 예약 참고서비스, 원거리 이용자 서비스

 

2.정보봉사 기능

<직접적 기능>

1.그린(Samuel Green)1876년 정보제공기능, 교욱기능, 상담지도기능 + 도서관홍보 기능

*1876“Personal Relations Between Librarians and Readers”논문 저술

2.로스타인(Samuel Rothstein)은 정보제공기능, 교육기능, 상담기능

3.미국도서관협회(ALA)는 직접정보서비스(정보제공기능, 교욱기능), 간접정보서비스(목록과 서지준비, 상호협력, 참고도구 준비를 포함한 성공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모든 활동)

4.Richard E.Bopp&Bunge는 정보제공기능, 교육, 안내상담기능

5.영어도 알아둘 것 : 정보제공(information), 교육(instruction), 상담지도(guidance)

6.‘정보제공에 속하는 직접적 활동 :

질문에 대한 해답제공

ILL(Inter Library Loan)DDS(Document Delivery Service)

정보안내서비스(I&R service, Information and Referral Sevice)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지 않는 정보를 제공해 줄만한 외부기관이나 지역 사회의 자원을 이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연결시켜주는 서비스

-주로 비책자형 자원파일에 의존하여 서비스 제공하였으나 점점 전산화되는 추세.

-처음엔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봉사 측면에서 시행됨

-도나휴(Joseph Donahue)는 정보안내서비스가 필요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는데 그 중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의 정보교환소(information clearing house)가 되기 위해 서비스 범위가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는 게 있었음

-이용자와 사서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함.

-차일더스(Thomas Childers)는 정보안내서비스를 구분했는데, 1차적 서비스는 정보&안내에 초점을, 2차적 서비스는 그 외의 모든 부수적인 것들 포함했다.

-서비스 시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계획단계 : 정보요구 분석, 재정적 지원 유무, 기존 서비스와의 관계정립, ~결정

--시행단계 : 자원파일 구축, 직원교육, 홍보

--평가단계 : 결과확인, 통계자료 분석

DB탐색

서지정보의 확인(bibliographic verification) : 이용자의 인용정보(=이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대조확인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바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정보중개자(Information Broker) : 다양한 참고정보 판매

정보중재(Information Mediator) : 충돌을 조정하는 활동

7.상담지도 기능

Reader`s Advisory Service(독자상담서비스, 독서상담) : Green1876년에 주장, 참고봉사의 원형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도서관봉사의 출발과 궤를 같이함, 미국 콜롬비아 대학에서 듀이가 설정한 과목명으로 이용자협조(aids to the readers)’라고도 함.

Bibliotheraphy(독서치료, 독서요법)

*독서지도는 교육기능에, 독서치료는 상담지도 기능에 속한다는 걸 헷갈리지 말 것!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맞춤정보서비스, 정보의 선택적 배포)

-유사용어 : 최신정보주지서비스(current awareness service), 맞춤정보서비스, Push service, Alert service, customized service, Library 2.0RSS도 포함, Pull service

-이용자의 프로파일이 있어야 함.

Term Paper Counseling(논문작성 상담, 보고서 작성)

연구 협조와 자문

<간접적 기능>

1.참고장서의 구성, 서지정보자료의 준비와 작성, 정보파일의 작성유지, 참고사서의 연수(계속교육), 평가

2.정보파일(information file)은 해당 도서관의 목적에 맞게 특수성에 따라 자체적으로 작성되는 정보원임. 연관개념으로 자원파일(resouces file)은 생활정보나 실용정보 위주의 비전통적인 정보원을 말하고, 참고질문처리표FAQ한 걸 카드형식으로 모아 정리해 놓은 것.

 

3.정보봉사의 제공수준

1.도서관 간의 기본적인 기능과 조건의 차이를 고려하여 도서관봉사의 이념(혹은 참고봉사의 이론)의 수준이 다르게 지향되어 1930년대 이후 서양의 여러 학자들로부터 논의가 되었다.

2.대표적인 이론은 다음과 같다,(둘 다 내용은 비슷함, 말만 다르게 표현함)

1930년대 : 와이어(Wyer) 보수이론-중용(중도)이론-자유이론

1960년대 : 로스타인(Rothstein) 최대봉사이론-중간봉사이론-최소봉사이론

*와이어와 로스타인 둘 다 자유이론을 주장하는 학자였다.

정보봉사 이론별 학자(암기)

보수이론 : 로빈슨(Otis Robinson), 윈저(Justin Winsor), 스포퍼드(A.R.Spofford), 존슨(L.B.Johnson), 터커(John M. Tucker), 래더(Hannelore Rader)

중도이론 : 맥콤스(Charles McCombs)

진보이론 : 와이어(1930, James I. Wyer), 허친스(Margaret Hutchins), 맥클루(1970, Charles McClure), 카츠(1960, William A. Katz), 로스타인(1950 중반, Samuel Rothstein)

참고과정이론 : 바브렉(Bernard Vavrek), 갈빈(Thomas I. Galvin), 야호다(Gerald Jahoda), 레틱

3.와이어의 이론 설명

 

보수이론

중용(중도)이론

자유이론

사서의 역할

이용자에게 도서관 이용법 교육만 해도 됨

도서관 이용법 교육 + 많은 질문에 답변 제공

도서관 이용법 교육 + 많은 질문에 답변 제공 + 조사, 탐색 등 모든 걸 다 : 최대한 서비스

적용대상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특수도서관=전문도서관 (ex : 의학도서관, 법률도서관, 기업도서관 등)

4.보수이론(conservative theory)

-도서관봉사 발생 초기의 이념을 강조한 개념으로

-유사용어 : 교육이론(education theory), 최소이론(minimum theory)

-시기별 이론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800년대 후반~1900년대 초반 : 공공도서관은 시민의 대학’, (로빈슨, 윈저, 스포퍼드)

1930년대 : 도서관 교육을 생애의 요구라고 표현, 존슨의 도서관 대학이념

1960~70년대 : 참고과정이론이 대세, 터커와 레더가 참고사서&이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교육으로 파악

1980년대 : 정보자원이 많아지면서 교육의 재인식 필요

-교육이론의 정당성은 도서관이 생애교육 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데서 찾을 수 있음

-진보적 이론과 참고과정이론으로 한동안 빛을 잃는 듯 했으나 1980년대의 정보화사회가 정착되면서 차별화된 정보의 인식, 평가, 선택의 능력 요구에 따라 이론의 필요성 재인식

-Danis Gabor의 주장 : “모든 사람에게 문명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여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스스로 삶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그 모든 기회를 자유로운 자기구성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론의 장·단점

장점 : 현실적으로 적용가능, 도서관 교육이 생애교육으로 이용될 수 있음

단점 : 비연속적인 간단한 교육으로 교육효과 기대하기 어려움

5.중도이론(moderate theory)

-경우에 따라서 제공되는 봉사는 최대일 수도, 최소일 수도 있음

-이론의 장·단점

장점 : 현실성이 높음

단점 : 봉사의 일관성 결여

6.진보이론(progressive theory)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만족될 때까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이론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최대의 정보서비스

-유사용어 : 자유이론(liberal theory), 최대이론(maximum theory)

-이론의 단점 : 현실적으로 어려움,

7.참고과정이론(theory of reference process)

-1970년대 중반부터 사용된 표현으로서, ‘이용자의 질문을 받아서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이 라는 사실을 강조

-이념 논쟁을 초월하여 해답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음=이념 문제가 아닌 최대 정보제공을 위한 방법적 기술적인 문제를 논하는 것임.

-이론의 핵심은 이용자, 사서, 정보원 등 정보봉사를 위한 기본 세 요소의 상호작용이 이상적으로 진행될 때 정보봉사의 최상의 효율성이 실현된다는 것임.

-참고 과정이론의 주장 유명한 말 진보주의 이론가들은 정보 독선가이다

 

by 도룡뇽:D 2017. 10. 22. 16:15

전자기록 장기보존에 대한 개념적 구조

1.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참조모형 미국 NASA에서 개발세계표준으로 제정

▶내용 : 디지털 정보의 영속적인 장기보존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를 중심으로 개발된 기술적인 권고사항

특징 : 정보패키지의 종류(SIP, AIP, DIP), CEDARS 프로젝트와 NEDLIB 프로젝트, PANDORA, InterPares 프로젝트에서 활용됨.

한계 : 고차원적인 관점에서는 현실과 연계할 있으나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모호한 부분이 많이 존재함(출처 : UKDA, TNA 자가진단보고서)

 

2. OAIS 참조모형을 준용한 전자기록관리기관을 ‘신뢰할 있는 기관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과 기준,도구 

UKDA/TNA 자가진단보고서, TRAC, DRAMBORA

 

3. 자기록 장기보존방법에 대한 주요 프로젝트 사례

▶InterPares(International Reserch on Permanent Authentic Records in Electronic Systems)프로젝트 : 캐나다 UBC 프로젝트에서 파생미국캐나다이탈리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세계적 정부 산학 공동연구프로젝트

-진행시기 : 1단계(1999~2001), 2단계(2002~2007), 3단계(2007~2012)

-(http://www.interpares.org/ip_director_welcome.cfm 간략소개 나와있고 자세한 내용을 하이퍼링크 따라가세요..ㅋㅋ/ 관련논문도 굉장히 많음)

-목적 :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정책 개발 모형구축 설계

-특징 : inactive전자레코드(비현용기록물과 유사개념) 진본성 보존에 초점실증적이고 귀납적 연구방법과 고문서학에 근간을 이론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도 병행


NEDLIB(Networked European Deposit Library)프로젝트 : 유럽의 국가 도서관들 간의 협력프로젝트

-진행시기 : 1998~2000

-목적 : 네트워크화된 유럽 보존 도서관 실현하기 위한 기반구조 구축(‘디지털정보의 장기 보존 초점)

-특징 : 디지털 정보자원 보존시스템을 “플러그 (plug-in)”모델로 구축되었다는


CEDARS(CUAL Exemplars in Digital Archives)프로젝트 : CUAL 주도 아래 JISC 재정적 지원
*CUAL : 영국의 Leeds, Oxford, Cambridge  대학의 협력체를 일컬음.

-진행시기 : 1998.4~2002.3

-목적 : 디지털 보존과 관련된 주제들을 발굴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즈 관련 향후 방향 제시

-내용 : 다섯 가지 영역(메타데이터 보존지적재산권장서관리기술적 전략디지털 아카이빙 프로토타입) 중심으로 연구 진행함 디지털 아카이빙 프로토타입은 분산형&OAIS 모델로 구축.


CAMiLEON(Creating Creative Archiving at Michigan and Leeds : Emulating the Old on the New) 프로젝트 : CEDARS프로젝트와 협력관계미국 미시간대학의 문정과와 영국의 Leeds 대학의 협동연구

-진행시기 : 1999~2002

-특징 : 에뮬레이션을 통해 디지털 문서들의 “look-and-feel” 보존할 있는 방법연구


PRISM(Preservation, Reliability, Interoperability, Security and Metadata)프로젝트 : 미국 코넨대학 주도

-시기 : 1999~2003

-특징 :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정보통합성에 필요한 정책이나 매커니즘 개발

 

●참고 : MoReq OAIS 참고모형을 함께 비교분석해야

OAIS 참조모형은 6개의 기능요소에서 전자기록관리에서 중시되어야 하는 각종 기준 관리의 측면 전자기록의 맥락을 유지하기 위한 분류와 분류정보 관리의 측면 등이 다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으로 개발된 Moreq2 함께 분석해야 필요성이 있다.

-MoReq 유럽에서 통용될 있는 전자기록관리 요건을 정의하기 위해 발행된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규격 모델

-MoReq2 유럽의 환경(context)에서 확장된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을 개발하고 규제준수 체계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


[참고자료]

김희정, 「디지털보존의 유형과 정략: 선진국 사례 및 주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81-90

왕호성 (2006). 장기보존전략으로서의 XML - 이미화, 현문수 역 (2006). @World Series No. 1 『전자기록의 유형별 보존기법』, 한국국가기록연구원 -. 기록학연구, (14), 395-399. 


by 도룡뇽:D 2017. 10. 22. 15:51

1. LOD(Linked Open Data)

▶개방형 데이터(Open Data)란,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하고 재설계·재생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링크드 데이터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발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행된 데이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보다 유용한 데이터 활용환경을 구축한 것임.

▶LOD는 이러한 Open data+Linked data의 핵심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링크드 데이터의 발행원칙에 맞춰 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 / '웹'을 플랫폼으로 기계가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봐도 무방.

▶좀 더 알고싶다면 : 팀 버스너 리(Tim Berners-Lee)의 'Five Star Open Data'를 참고(데이터 개방의 단계화 효과를 설명하고 있음)

▶이 개념이 주목받는 이유 : 서로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연결된 정보가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열쇠이며 만약 데이터가 개방되고 연결된다면 더욱 가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새로운 지식 확산 및 일반화에 기여할 수 있음

▶관련 개념 : 오픈데이터, 빅데이터, 정부3.0 등


2. MMO(Metadata Mapping Organizer, 메타데이터 맵핑 도구)

▶다양한 생산기관의 기록물 인수 시, 매핑을 통해 일부 메타데이터가 추출되어 관리시스템에서 기록물의 식별 및 검색에 사용됨(실제로 대통령기록관리시스템에서 쓰이고 있음)

▶좀 더 알고 싶다면 : 대통령기록관리시스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참고.(현재 인수기관별/기록종류별 매핑 규칙에 따라 접수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이력관리를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음)


3. ODF 포맷

▶ODF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 XML기반 개방형 문서 포맷으로 문서, 스프레드시트, 차트, 슬라이드를 표현하는 표준 규격임

-현재까지 개발된 ODF의 종류 6가지 : 텍스트 문서 odt, 스프레드시트 ods, 슬라이드 odp, 데이터베이스 odb, 수식 odf, 그래픽 odg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를 살펴 보시길!


[참고자료]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완료보고서, 2016


by 도룡뇽:D 2017. 10. 22. 15:36

지혜의 숲 근처에 있는 브런치 맛집!!
11시~14시에 가면 아메리카노 세트구성을 맛볼 수 있어요!><
한 12.000원 가량으로 기억!
by 도룡뇽:D 2017. 10. 22. 15:04

와...진심 감탄밖에 안나옵니다..
경보가 강력추천해서 온 마라탕집인데 넘사벽 마라탕 먹고 간 느낌..
마라탕과 꿔바로우의 조합은 단짠단짠의 끝조합인것을!♡♡♡

혜화가면 꼭 가보세요,맛있어서 또 가실거에요 핳♡

with 마라의 노예들
by 도룡뇽:D 2017. 10. 22. 14:59

약간 호불호가 갈리는 맛인듯!!
과자양념 맛도 나고 생각보다 매콤해요

개인적으로 호치킨은 순살반반에 떡볶이가 최애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by 도룡뇽:D 2017. 10. 22. 14:56

꼭꼭 먹으세여
두번세번 아니 많으면 많을수록 좋아여흐규규규(존맛탱구리 매운거 좋아하는 사람에겐 천국이 따로 없음ㅋㅋㅋ)

내 최애 맛집이구여
가면 앞다리 먹으세여(사실 뒷다리랑 차이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앞다리가 인기 많아여)

매우니까 살짝 덜맵게 해달라고 하구여!!(참고로 본인은 엽떡도 잘먹는 매운거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덜맵게 해달라고 합니당, 그 정도로 매워요 ㅋㅋㅋ)

미니족발도 있으니 혼자 먹고자 하는 사람도 ㄱㄱ

-앞다리 25,000/뒷다리 22,000(순살기준)

With DD
by 도룡뇽:D 2017. 10. 22. 14:48

흑맥주인데 진짜진짜 진함!
난 흑맥주 잘 못먹어서 ㅠ 맛있는 줄 모르겠지만 흑맥 좋아하는 사람들은 맛있다고 함:)

2017.10.21. 혜화에서 매듭이랑
 

'Diary > 맥주콜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소빈(SAISON SAUVIN)  (0) 2017.10.22
by 도룡뇽:D 2017. 10. 22. 14:39

살짝 과일향나고 시원해서 맛있음!!
굳굳!

2017.10.22.혜화에서 매듭이랑

'Diary > 맥주콜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드라스푸틴(OLD RASPUTIN)  (0) 2017.10.22
by 도룡뇽:D 2017. 10. 22. 14:35

▶기록원도 "좌편향 배제"…박근혜 정부 곳곳 '블랙리스트'(2017.10.17.)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35490&pDate=20171017

▶탄핵안 가결 뒤 박근혜 청와대 '서버' 82대 폐기(2017.10.17.)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35897
-관련보도내용
압수수색 막은 이유 있나?…폐기된 '82대 서버' 내역 보니(2017.10.17.)
http://news.jtbc.joins.com/html/888/NB11535888.html 

by 도룡뇽:D 2017. 10. 22. 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