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미국

-APPM(Archives, Personal Papers, and Manuscripts)(1983,1989)  

  • 영미목록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서지목록과 기록 기술의 접근점을 제공하려는 목적
  • 1983년은 미국 의회 도서관이 발간, 1989년 수정판은 미국 아키비스트 협회(SAA)가 발간 
  • 2004년 DACS로 대체됨

-DACS(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2004)

  • 보존기록을 일관성있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기술하기 위한 미국의 표준 기술 규칙
  • CUSTARD(보존기록 기술에 관한 북미 프로젝트)의 결과로 개발 
  • 제1부는 보존기록을 기술하기 위한 핵심 규칙 제공, 2부에서는 보존기록의 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생산자(개인,가문,조직)을 기술하는 원칙을 제시, 3부에서는 개인명, 가문명, 조직명을 표현하는 표준 형식을 제시 
  • ISAD(G)와 ISAAR(CPF)의 요소를 수용하여 RAD와 APPM을 대체할 수 있는 표준으로서 탄생 
  • 매뉴스크립트도 포함 
  • 매체나 형식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한 기술 규칙을 정한 것임


(2)캐나다

-RAD(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1990,2003) 

  • 보존기록을 일관성있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기술하기 위한 캐나다의 표준 기술 규칙 
  • 영미목록규칙 제2판 수정본(AACR2R)을 기반으로 하지만 보존기록 기술에 적합하게 조정함 
  • 퐁존중의 원칙에 따라 보존기록에 대해 집합적 기술을 하도록 제시 
  • 2판(2003, RAD2라 읽음)에는 CUSTARD프로젝트 반영, 지속적 수정. 
  • 2판의 내용엔 제1부 기록유형별 기술규칙, 제2부 접근점 선택과 통제에 대한 규칙이 있음


(3)영국 

-MAD(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2000)

  • 영국에서 보존기록관의 소장 자료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한 지침서 
  • 쿡(Michael Cook)과 프록터(Margaret Proctor)가 작성 
  • 2000년에 발간된 MAD3(3판임)은 모두 5개의 파트로 구성 
  • MAD3은 ISAD(G)와 같은 국제 기술 표준을 반영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영국의 보존 기록관리 전통을 반영하여 검색 도구의 형식을 강조 
  • 기술 자체보다 분류체계나 관리방식을 더 강조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음


(4)호주 

-CRS 매뉴얼(the Commonwealth Record Series system manual)

  • 연방기관의 조직 변동이 잦은 호주의 환경을 반영하여 출처주의에 의한 기록관리 방식보다는 기록 시리즈를 중심으로 관리하는 CRS시스템을 1964년부터 채택함 
  • CRS시스템 채택 이후부터 기록의 지적 통제가 가능해짐 
  • 1970년대 이후 본격적인 기록 기술 작업을 개시함


(5)우리나라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6 원내, 2008 공공, 2011 개정)  

  • ISAD(G)준용하였으나 내용과 구조영역에 ‘색인어’가 추가되었고 
  • 준현용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와의 매핑표를 제공


(6)국제 

-ISAD(G)(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1994,1999) 

  • 기록기구회의(ICA)가 보존기록을 위해 일관성있고 체계적인 기술목록을 생산하고 이러한 기술목록의 교환과 통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정한 표준 
  • 5년 주기 갱신 원칙 
  • 다계층 기술 규칙을 강조 
  • 제 2판에서는 보존 기록을 위해 26개의 요소를 제안 (BUT 우리나라는 27개) 
  • 각 요소에 기재될 내용과 구조는 국가별 기술 규칙을 따르도록 제안

-ISAAR(CPF)(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Authority Record for Corporate Bodies, Persons and Fanmilies)(1996,2004)

  • 기록을 위한 전거레코드의 구성 및 요소 기술을 위한 국제 표준 규칙 
  • 이 표준의 목적은 기록 생산자에 관한 기록 전거 레코드를 구축하기 위한 일반규칙을 제시하는 것 
  • 1판은 전거제어영역, 정보영역, 주기영역 포함, 2판은 식별영역(1판의 전거제어영역과 유사), 기술영역(1판의 정보영역과 유사), 관계영역, 통제영역(1판의 주기영역과 유사)을 포함하고 있음  


by 도룡뇽:D 2018. 1. 2. 12:35

각국의 기록보유일정표(기록관리일정표) ①미국의 국립기록관리청(NARA) : 기록일정표(records schedule) ②호주 국립기록관(NAA), ISO15849 : 처분지침(disposal authority) ③영국 국립기록관 : 처분 일정표(disposal schedule) ④MoReq, ARMAI : 보유일정표(retention schedule) ⑤한국 : 기록관리기준표

by 도룡뇽:D 2018. 1. 2. 12:28

 

by 도룡뇽:D 2017. 12. 10. 17:20

▶RiC는 ICA의 차세대 기술표준으로 ICA의 Expert Group on Archival Description(EGAD, 기록물 기술표준 개발을 위한 전문가그룹)이 기존의 시간차를 두고 개별적으로 개발된 ICA는 ISAD(G), ISAAR(CPF), ISDF, ISDIAH 등 4개의 기술표준을 합치는 것 외에 정보환경의 발전을 반영하여 새로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Record), 인물/단체(Agent), 기능(Function), 장소(Place) 등 14개 엔티티를 통해 맥락을 제공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RiC은 개념모형(Ric-CM)과 온톨로지(RiC-O), 정보모형(RiC-IM)으로로 구성된다.



▶우리나라 기술표준의 현 상태는, ISAD(G)가 가장 널리 적용되고, ISAAR(CPF)는 제한적으로 활용, ISDF와 ISDIAH는 도입되지 않았다. ISO15489, ISO23081을 국가표준으로 수용하면서 다중개체기반 기록물 기술기반이 마련된 정도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기록물 기술 체계의 방향 및 고려사항'

1.통합적인 기록물 기술 모형 개발 및 적용
현재 우리나라 기록물 기술은 현용,비현용 기록물/보존기록물을 위한 표준으로 구분되어 있음

2.유관기관의 기술표준과의 연계성 확보
기존엔 각 분야의 표준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연계가 필요한 경우에는 유사한 요소끼리 매핑하는 '크로스워크(crosswalk)방식'이 많이 활용됨
이젠 기술표준의 구조 자체를 분해하여 연계에 용이한 방식으로 재구조화 가능하게 융합모형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야함

3.기록물의 유형이나 기록물 관리기관의 개별 특징을 고려한 다양하고 유연한 기술표준의 구조가 필요

 

출처 : 박지영. (2016). 차세대 기록물 기술표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223-245.



by 도룡뇽:D 2017. 11. 29. 14:31

퐁 존중의 원칙(respect des fonds)

-퐁 존중의 원칙은 출처의 원칙+원질서 존중의 원칙
-미국은 퐁 존중의 원칙을 출처의 원칙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기도 함

by 도룡뇽:D 2017. 11. 8. 21:09

보존기록선언(Declaration on Archives)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ICA 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2010.9),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36차 UNESCO 총회에서 승인(2011.11)
-'기록의 가치'에 대한 내용의 선언문 발표

by 도룡뇽:D 2017. 11. 8. 20:51

1.정리기술이란? 
기록물이 질서가 없을 때, 조직의 체계에 따라 질서를 부여하는 것(재조직화)

2.정리기술 원칙
기록물 처리과정에서 지켜지는 원칙으로 19C 유럽에서 발달한 원칙에는 출처의 원칙, 원질서 원칙, 집합적 기술의 원칙이 있다. 20C 미국에서 발달한 원칙으로 계층적 관리 원칙도 있다.

①출처의 원칙
하나의 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기록물은 다른 생산자가 생산한 기록물과 뒤섞이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
-(기능분류에 적용하면)과내의 특정기능으로부터 만들어진 파일들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생산한 파일들과 섞여서는 안된다는 걸 의미

②원질서의 원칙
관련 기관의 공식적인 활동 과정에서 부여받은 순서와 지시대로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물리적인 정리 상태를 보존)
-영국의 Hiary Jenkinson "기록물이 그 원래의 상태에 있을 때 공정함을 기대할 수 있다"

③집합적 기술의 원칙
기록물 세트를 분리된 개체로서가 아니라 집합적으로 기술하는 원칙으로 출처의 원칙이나 원질서의 원칙을 유지하자는 것임(총체적으로 검토하고 기술하자는 거)

④계층적 관리의 원칙
가장 크고 가장 일반적인 것부터, 가장 작고 가장 구체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연속체를 따라 점차적으로 기록물세트를 묶어주고 기술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
-위계적인 구조에 따라 기술 또는 보존



by 도룡뇽:D 2017. 10. 23. 00:51

전자기록 장기보존에 대한 개념적 구조

1.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참조모형 미국 NASA에서 개발세계표준으로 제정

▶내용 : 디지털 정보의 영속적인 장기보존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를 중심으로 개발된 기술적인 권고사항

특징 : 정보패키지의 종류(SIP, AIP, DIP), CEDARS 프로젝트와 NEDLIB 프로젝트, PANDORA, InterPares 프로젝트에서 활용됨.

한계 : 고차원적인 관점에서는 현실과 연계할 있으나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모호한 부분이 많이 존재함(출처 : UKDA, TNA 자가진단보고서)

 

2. OAIS 참조모형을 준용한 전자기록관리기관을 ‘신뢰할 있는 기관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과 기준,도구 

UKDA/TNA 자가진단보고서, TRAC, DRAMBORA

 

3. 자기록 장기보존방법에 대한 주요 프로젝트 사례

▶InterPares(International Reserch on Permanent Authentic Records in Electronic Systems)프로젝트 : 캐나다 UBC 프로젝트에서 파생미국캐나다이탈리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세계적 정부 산학 공동연구프로젝트

-진행시기 : 1단계(1999~2001), 2단계(2002~2007), 3단계(2007~2012)

-(http://www.interpares.org/ip_director_welcome.cfm 간략소개 나와있고 자세한 내용을 하이퍼링크 따라가세요..ㅋㅋ/ 관련논문도 굉장히 많음)

-목적 :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정책 개발 모형구축 설계

-특징 : inactive전자레코드(비현용기록물과 유사개념) 진본성 보존에 초점실증적이고 귀납적 연구방법과 고문서학에 근간을 이론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도 병행


NEDLIB(Networked European Deposit Library)프로젝트 : 유럽의 국가 도서관들 간의 협력프로젝트

-진행시기 : 1998~2000

-목적 : 네트워크화된 유럽 보존 도서관 실현하기 위한 기반구조 구축(‘디지털정보의 장기 보존 초점)

-특징 : 디지털 정보자원 보존시스템을 “플러그 (plug-in)”모델로 구축되었다는


CEDARS(CUAL Exemplars in Digital Archives)프로젝트 : CUAL 주도 아래 JISC 재정적 지원
*CUAL : 영국의 Leeds, Oxford, Cambridge  대학의 협력체를 일컬음.

-진행시기 : 1998.4~2002.3

-목적 : 디지털 보존과 관련된 주제들을 발굴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즈 관련 향후 방향 제시

-내용 : 다섯 가지 영역(메타데이터 보존지적재산권장서관리기술적 전략디지털 아카이빙 프로토타입) 중심으로 연구 진행함 디지털 아카이빙 프로토타입은 분산형&OAIS 모델로 구축.


CAMiLEON(Creating Creative Archiving at Michigan and Leeds : Emulating the Old on the New) 프로젝트 : CEDARS프로젝트와 협력관계미국 미시간대학의 문정과와 영국의 Leeds 대학의 협동연구

-진행시기 : 1999~2002

-특징 : 에뮬레이션을 통해 디지털 문서들의 “look-and-feel” 보존할 있는 방법연구


PRISM(Preservation, Reliability, Interoperability, Security and Metadata)프로젝트 : 미국 코넨대학 주도

-시기 : 1999~2003

-특징 :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정보통합성에 필요한 정책이나 매커니즘 개발

 

●참고 : MoReq OAIS 참고모형을 함께 비교분석해야

OAIS 참조모형은 6개의 기능요소에서 전자기록관리에서 중시되어야 하는 각종 기준 관리의 측면 전자기록의 맥락을 유지하기 위한 분류와 분류정보 관리의 측면 등이 다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으로 개발된 Moreq2 함께 분석해야 필요성이 있다.

-MoReq 유럽에서 통용될 있는 전자기록관리 요건을 정의하기 위해 발행된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규격 모델

-MoReq2 유럽의 환경(context)에서 확장된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을 개발하고 규제준수 체계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


[참고자료]

김희정, 「디지털보존의 유형과 정략: 선진국 사례 및 주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81-90

왕호성 (2006). 장기보존전략으로서의 XML - 이미화, 현문수 역 (2006). @World Series No. 1 『전자기록의 유형별 보존기법』, 한국국가기록연구원 -. 기록학연구, (14), 395-399. 


by 도룡뇽:D 2017. 10. 22. 15:51

1. LOD(Linked Open Data)

▶개방형 데이터(Open Data)란,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하고 재설계·재생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링크드 데이터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발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행된 데이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보다 유용한 데이터 활용환경을 구축한 것임.

▶LOD는 이러한 Open data+Linked data의 핵심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링크드 데이터의 발행원칙에 맞춰 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 / '웹'을 플랫폼으로 기계가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봐도 무방.

▶좀 더 알고싶다면 : 팀 버스너 리(Tim Berners-Lee)의 'Five Star Open Data'를 참고(데이터 개방의 단계화 효과를 설명하고 있음)

▶이 개념이 주목받는 이유 : 서로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연결된 정보가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열쇠이며 만약 데이터가 개방되고 연결된다면 더욱 가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새로운 지식 확산 및 일반화에 기여할 수 있음

▶관련 개념 : 오픈데이터, 빅데이터, 정부3.0 등


2. MMO(Metadata Mapping Organizer, 메타데이터 맵핑 도구)

▶다양한 생산기관의 기록물 인수 시, 매핑을 통해 일부 메타데이터가 추출되어 관리시스템에서 기록물의 식별 및 검색에 사용됨(실제로 대통령기록관리시스템에서 쓰이고 있음)

▶좀 더 알고 싶다면 : 대통령기록관리시스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참고.(현재 인수기관별/기록종류별 매핑 규칙에 따라 접수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이력관리를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음)


3. ODF 포맷

▶ODF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 XML기반 개방형 문서 포맷으로 문서, 스프레드시트, 차트, 슬라이드를 표현하는 표준 규격임

-현재까지 개발된 ODF의 종류 6가지 : 텍스트 문서 odt, 스프레드시트 ods, 슬라이드 odp, 데이터베이스 odb, 수식 odf, 그래픽 odg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를 살펴 보시길!


[참고자료]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완료보고서, 2016


by 도룡뇽:D 2017. 10. 22. 15:36

쉽게 말하면 다음과 같다.▼

1.마이그레이션(Migration)-수시로 다른 전자매체에 업댓하여 물리적 매체의 노후화를 방지하는 방법[각주:1]

2.에뮬레이션(Emulation)-그 전자기록의 원래 운영환경을 재생산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실현시키는 방법[각주:2]

3.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메타데이터를 디지털 객체랑 하나로 묶어버리거나 포함시켜서 같이 취급되도록하는 방법[각주:3]

  1. 접근성의 유지를 위해 전자기록물을 구형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 혹은 세대로부터 현재의 구성 혹은 세대로 끊임없이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물리적 매체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문으로]
  2. 소프트웨어의 원래 성능이 현재의 컴퓨터상에서 재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자기록의 원 래 운영환경을 재생산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된다. 직접적 도구가 되는 에뮬레이터 소프트웨 어의 생산이 고도로 숙련된 컴퓨터 프로그래머를 필요로 하며, 높은 비용을 요구한다는 단점을 지 닌다. 또한, 상업적 소프트웨어의 에뮬레이션은 지적자산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보존전략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을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 [본문으로]
  3. 메타데이터를 디지털 객체와 함께 하나로 묶거나, 디지털 객체 사이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한다. 메타데이터는 기록이 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고, 미래에 기술적으로 접근될 수 있도록 하는 역 할을 하게 되므로, 인캡슐레이션은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및 활용을 위한 필수기능이다. 그러나 그 자체만으로는 전자기록을 보존하는 기능을 가지지는 못하여, 마이그레이션이나 에뮬레이션 등과 같은 기록의 접근가능성의 보증을 위한 전략들과 함께 결합하여 사용될 때에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문으로]
by 도룡뇽:D 2017. 2. 8. 21:4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