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 소개
1.관련키워드 : 구성주의(과정중심), 비판적 사고, 반성적 사고, 자기주도학습, 자원기반학습
2.유사용어 : 정보사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정보소양능력, 정보를 읽고쓰는 능력, 등
3.1980년대 후반부터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
4.Zurkowski(1974)가 최초로 정의내림. “정보가 언제 필요한지 알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평가한 후, 그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
5.프라하 선언 : 2003년 체코 프라하에서 UNESCO의 지원으로 정보리터러시 전문가회의를 수행했고, 23개국이 참가한 이 회의에서 정보리터러시의 기본원칙을 제안함
6.이스톤(Denise G. Easton)가 말한 정보리터러시의 핵심 리터러시 4가지(★)
①도구 리터러시 : 각종 도구와 하드웨어의 사용능력
②정보 리터러시 : 정보의 접근·정렬·이해·통합 능력
③소통 리터러시 :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
④문화 리터러시 : 위의 3가지 리터러시들이 집단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능력
7.정보리터러시(를 키워야) → 독자적 학습(이 가능하고) → (이를 통해) 평생학습
8.브레이빅의 정보리터러시 우산
-(주의)정보리터러시를 우산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 거지 모델을 정의한 건 아님.
-손잡이(basic literacy)를 통해 우산살(computer·library·media·network·visual literacy)가 완성되면 비로소 정보리터러시가 획득되는 거 : 정보리터러시를 좀 더 포괄적인 용어로 설명한 거
6.정보리터러시 모델(★)
1.쿨타우의 정보탐색과정 모델(=ISP 6,Model of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1989
2.파파스와 테페의 지식정보능력 개척 모델(=P to K, Pathways to Knowledge Information Skills Model), 1995
-순차적 모델이 아닌 비선형적인 면을 강조함-정보활용 과정을 6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개별 학생들이 비선형적으로 적용하는 전략
단계 |
정보활동 |
감상(appreciation) |
전반적인 읽기, 보기, 듣기, 활동 |
예비조사(pre-search) |
포괄적인 주제 선정, 이미 알고있는 거 조사 |
탐색(search) |
정보탐색, 적절한 정보 발췌 |
해석(interpretation) |
비교와 대조, 조직, 추론, 분석 등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설명, 공유 |
평가(evaluation) |
결과 평가, 과정 검토 |
3.스트리플링과 피츠의 REACTS 모형
-사서교사가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연구조사 및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한 모델
4.Big 6(★)
-워싱턴 대학의 아이젠버그 교수와 웨인센트럴 고등학교 도서관의 미디어 전문 사서 버코위츠가 미취학 아동~고학력자에 이르는 수천 명의 사람들로부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과정 모형’
-최초의 모형은 선형 단계로 개발되었으나 차후 비선형을 채택한 6단계로 변경됨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협력하여 실제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연령에 따라 정보리터러시 능력을 가르치는 방법론 또는 학습법을 Super 3(Grade K-2), Grade 3-6(초등학생 대상), Grade 7-12(중고등학생 대상)의 3가지로 나누어 제시
-Big 6 핵심전략
Super 3 |
Big 6 |
Little 12 |
시작/계획 (Plan) |
정보문제의 정의 Task Definition |
define the information problem |
identify information needed |
탐색전략 수립 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
determine all possible sources |
select the best sources |
중간/행동/실행 (Do) |
정보의 식별과 접근 Location and Access |
locate sources (intellectually and physically) |
find information within sources |
정보이용 Use of Information |
engage(e.g., read, hear, view, touch) |
extract relevant information |
종료/반성/평가 (Review) |
통합 Synthesis |
organize from multiple sources |
present the information |
평가 Evaluation |
judge the product (effectiveness) |
judge the process (efficiency) |
5.그 밖의 모델
어빙의 9단계 정보능력 모형, 쥬크의 5-As, 란킨의 Pre-Search 등
7.정보리터러시 기준(★)
1.AASL·AECT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1998
-지식정보사회에서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이자 모든 교과학습에 필요한 기본 도구능력으로 정보리터러시에 대한 기준을 제시
영역 |
교육목표 |
정보리터러시 |
-효율적,효과적으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학생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학생 -정확하고 창조적으로 정보를 사용하는 학생 |
자율학습능력 |
-개인적 관심과 관련된 정보를 추구할 수 있는 학생 -문헌과 정보의 창조적 표현물들을 올바르게 인식할 줄 아는 학생 -정보의 탐색과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학생 |
사회적 책임 |
-민주 사회에서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학생 -정보와 정보 기술에 대하여 윤리적으로 대하는 학생 -정보를 추구하고 생성하기 위한 단체 행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생 |
2.ACR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2000(★)
-AASL·AECT의 정보리터러시 기준을 확장한 것으로,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정보리터러시 지표를 제시
-총 5개의 교육목표 아래 각각의 성과지표(22개)를 제시하고 있으며, 성과지표 아래 다시 여러 개의 학습결과(87개)를 제시
“정보소양을 갖춘 학생은 자신의 정보요구가 무엇인지 알고(①Know), 그 정보에 대해 효과적,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②Access) 해당 정보와 정보원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지식과 가치체계에 그 정보를 통합할 수 있으며(③Evaluate)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④Use) 그리고 정보활용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인식하고 이용함으로써 윤리적, 법률적으로 행동한다.(⑤Ethical, Legal)”
-이렇게 학습목표를 내용과 행동으로 진술하는 방식은 블룸(Bloom)에 의해서 더욱 체계화되었으며, 이러한 블룸의 학습목표 진술방식은 오늘날 초중등학교에서 가장 널리 적용하고 있는 이원목표분류표의 근간이 되었음. 교육목표 분류학을 정착.
3.SCONU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1999
-영국 국립 및 대학도서관 협회에서 ‘Seven Headline Skills’를 고안, 이후 정보리터러시 7주 모형(Seven Pillars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2004)으로 발전
-도서관 활용능력과 IT활용능력을 바탕으로 7가지 수행능력(identify, scope, plan, gather, evaluate, manage, present)이 있어야 정보리터러시를 갖춘 것으로 설명
*7개의 수행능력은 순서에는 상관없음.
-화살표는 초보자부터 중급자, 능숙한 숙달자, 전문가로의 발전을 보여줌
출처: https://virginiahenry.co.uk/2011/11/27/pillars-of-strength-in-the-workplace/ (2017.11.08.)
8.정보리터러시 평가유형
1.진단평가: 내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 학습 준비가 되어있는지(ex: 진단 test)
2.형성평가: 내가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ex: 쪽지시험, 수행평가)
3.총괄평가: 끝나고 나서 내가 얼마나 성취했는지 평가(ex: 중간고사, 기말고사)
4.수행평가: 학생들 수행과정을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ex: 선생님들의 평가)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