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교육(User Education)

1.이용자 교육의 의의

1.정의 : 이용자에게 도서관 봉사, 시설, 조직과 도서관 자료, 검색전략에 관한 이용을 지도하기 위해 조직된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용어

2.비슷한 용어 : 도서관이용교육, 서지교육(bibliographic instruction, BI), 도서관이용자교육(Library user education/instruction)

3.최근 추세 : 정보리터러시교육으로 범위 확장

4.교육의 핵심 : 수준과 범위에 무관하게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

5.도서관 이용자교육은 19C 후반 정보서비스의 출발과 궤를 같이 함

6.(주의)그린(Samuel S. Green)1876년 처음으로 이용자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했는데, 이로 인해 그린을 진보이론 학자로 분류해선 안 된다. 그린은 진보이론이 나오기도 전의 사람이므로 굳이 분류하자면 보수이론에 가까운 학자임.

7.로빈슨(Ottis Robinson)은 그린의 주장에 적극적으로 동조함

 

2.이용자교육의 유형

비공식적 교육(개별교육)

-비슷한 용어 : 서비스현장교육(point of use instruction), 개별교육(one-to-one instruction)

-가장 일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교육의 형태이자 가장 오래된 교육 방법

-교육형태 : 주로 참고데스크에서 이루어지는 참고면담의 형식

공식적 교육(단체교육)_교육의 대상,내용,수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음

교육방법

소개

오리엔테이션

-가장 초보적 단계의 이용자교육

-일차적 목적은 이용자의 편안함 증가시키고 이용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

-단점 : 일회적인 교육이어서 교육의 효과가 그리 높지는 않음

-방법 : 강당 등에서 구두 설명, 비디오와 슬라이드 상영, 도서관 견학, 전자키아크스(Kiosk), 전자게시판, 인쇄물, 인터넷 홈페이지 활용 등

Library instruction, Guidance

(도서관 교육)

*‘Guidance’는 교육으로서의 안내와 상담·지도 서비스로서의 안내 둘다 있으니 주의해야 함.

-오리엔테이션보다 한 단계 높은 방법으로 학부생 수준의 중급단계 교육(주로 도서관 서비스의 구체적 내용과 도서관 자원 활용방법 교육)

-교육 목표 : 도서관 시스템과 참고자료의 이용능력에 대한 이해

-방법 : 대학도서관의 워크숍, 특정학과나 집단의 요청에 이루어짐

특정 기관의 절차·장서·정책, 물리적 요인에 한정된 도서관 강조

Bibliographic Instruction

(서지교육)

도서관의 물리적 경계와 특정기관의 한계를 넘어섬(도서관 교육과 비교)

-1970년대 중반부터 사용

-대학원생 이상(=특정 목적을 가진 이용자)을 교육대상으로 하는 수준 높은 도서관 이용교육(논문작성법도 포함)

-방법 : 워크숍, 특강, 독립교과목 수준

-기술적 교육보다는 문제해결에 중점을 둔 개념위주의 교육 강조

-행동주의,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기초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정보관리교육)

-주로 전문도서관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비슷한 용어 : 정보리터러시 교육

 

3.이용자교육의 방법_(·단점 소개는 생략)

1.강의(lecture)

-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방법 : 직접교수법, 간접교수법, 절충식교육법

2.견학

-강의가 선행되면 효과적임

3.시청각매체의 활용

4.컴퓨터를 활용한 교육

-대표적 : 컴퓨터보조학습(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_인강을 생각하면 쉬움

 

4.이용자 교육의 운영

1.교육프로그램의 계획

사전고려사항 : 자료수집과 독서, 사례조사, 이용자 조사(=이용자 요구 분석), 도서관의 준비정도, 지원여부

세부검토사항 : 교육수준별 유형의 결정, 교육의 목적과 목표의 설정, 교육구조와 내용의 결정, 교육방법의 결정, 조직과 교육담당자의 결정, 예산, 강의실, 통계, 홍보, 기타 등

2.교육프로그램의 개발

3.도서관 연계교육 모델

-교육모델 선택은 사서-학과교수진-경영진사이의 협력정도에 따라 좌우된다.(아래로 갈수록 협력의 정도가 강해짐)

교육 모델

소개

오리엔테이션

-도서관이 주관

교과목 연계형 교육

(Course-related instruction)

-교수의 개인별 요청(일방적)에 의해 이루어짐

-학부 수준의 특정 교과목에서 필요한 정보이용기술 제공하는 교육

교과목 통합형교육

(Course-integrated instruction)

-주로 대학원생 이상의 수준으로 정보이용기술이 교과목의 일부가 됨

팀 교육형 교육

(Team teaching)

-사서와 교수가 공동으로(쌍방향) 교육내용과 방법을 계획·실시·평가하는 방법

-최소한 교과목 통합형이나 독립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가능

독립 교과목형 교육

(Separated course)

-경영진이 개입하여 그 기관의 교육과정 일부임

-교육자(사서 또는 교수)가 책임지고 가르침

4.교육의 평가

-방법 : 관찰법, 면접법, 설문조사법

 

 

by 도룡뇽:D 2017. 10. 22. 23:31